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축제& 여행

종묘대제

by A Better Life 2023 2023. 5. 2.
반응형

2023 종묘대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종묘대제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神主)를 모시고 올리는 제례의식 

종묘대제 포스터

1. 기본 정보

▶ 기간 : 23.5.7~5.7
▶ 시간 : 11:00~17:00 (종묘대행 14:00~16:00 / 부대행사 11:00~17:00)
▶ 장소 : 종묘 영녕전 및 종묘 일원
▶ 예매기간 및 시간 : 23.5.2.~5.7 / 14:00(선착순 마감)
▶ 가격 : 무료
☎ 1522-2295(행사문의)

종묘제례 및 제례악은 2001년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2008년부터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으로 관리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인 종묘에서 개최되는 행사로 유형과 무형의 세계유산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드문 문화유산이다. 종묘제례는 왕조의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로 조선왕조의 제사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 한다. 조선조에는 춘하추동 사계절과 섣달에 행하였으며 1969년 대동종약원에 의해 복원되어 지금은 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과 11월 첫째주 토요일에 봉행되고 있다.

 

2. 세부 행사 

▶ 영녕전 : 종묘제례 봉행(일무 및 제례악 포함) 영녕전 관람석은 온라인 사전예약 가능/ 종묘 영녕전 일대 무료 관람 가능/ 실황중계
▶ 체험행사 : 신실 재현 전시관, 제례악기 체험, 어린이 체험(일무 색칠하기)
종묘졔례 행사현장
종묘제례 행사현장

종묘대제에는 종묘제례가 봉행되며 각 제사의례에 맞추어 경건한 분위기를 고양시키기 위한 음악과 무용으로서 종묘제례악이 따른다. 제례는 신을 맞이하는 영신례(迎神禮), 초헌, 아헌, 종헌례에 이어 음복례가 행해지고, 신을 보내 드리는 송신례(送神禮)를 갖춘 후에 축(祝)과 폐(幣)를 망료(望燎) 위에 불사르는 것으로 끝난다. 종묘제례악은 우리 고유의 음률로 왕조의 창업과 기상을 노래하고 있으며 모든 행사의 순서에 맞추어 춤과 음악이 조화를 이룬다. 엄숙한 제사 의례만큼이나 장엄미가 돋보이는 종합예술로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크며 동양에서도 드물게 남아 있는 고전음악이다.(출처 : 문화재청 긍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홈페이지)

3. 예매안내

▶ 예매일 : 5.2(화) 14시
▶ 예매처 : 티켓링크 www.ticketlink.co.kr (1인2매까지, 150명/비지정좌석)

티켓링크

티켓예매, 스포츠, 공연, 전시 등 티켓 예매서비스 제공. 페이코(PAYCO)간편결제 지원.

www.ticketlink.co.kr

< 본 게시물의 내용 및 이미지 출처 :http://jm.cha.go.kr>

반응형

'라이프 > 축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포 항구 축제  (4) 2023.10.03
고성 커피 맛집  (25) 2023.05.09
강릉 단오제  (14) 2023.05.02
서울 파크 뮤직 페스티벌  (12) 2023.05.02
고창 보랏빛 물결 라벤더 축제  (18) 2023.04.20

댓글